반도체부터 디지털 헬스케어까지
전자공학부 김대환 교수
반도체부터 디지털 헬스케어까지, 전자공학부 김대환 교수의 SiLK연구실 연구실 소개 및 주요 연구 분야 김대환 교수는 SiLK 연구실을 운영하며, 차세대 반도체 원천 기술부터 지능형 반도체 응용, 그리고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화까지 폭넓은 연구를 이끌고 있습니다. 연구실에서는 크게 세 가지 분야에 집중하고 있습니다. • 차세대 소자 및 구조 연구 : 산화물 반도체, 2차원 재료 기반 소자, 3D C-FET 트랜지스터 구조와 DTCO(Design-Technology Co-Optimization) 방법론 개발 • 지능형 반도체 응용 : AI 연산용 반도체, 차세대 메모리(DRAM·NAND), 멤리스터와 크로스바 어레이 기반 아날로그 연산 소자 연구 • 디지털 헬스케어 사업화 : 반도체 센서와 회로 기술을 활용한 Sleep-Tech, 바이오센서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 개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요 연구 프로젝트와 적용 사례 SiLK 연구실은 산업과 사회가 필요로 하는 문제 해결에 집중하며, 실제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. • AI 반도체 : 인간 두뇌의 에너지 효율성과 인지 능력을 반도체 설계에 접목해, 연산 속도는 높이고 전력 소모는 줄이는 기술 개발 • 헬스케어 센서 : 채혈 없이도 멜라토닌 호르몬 리듬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개발해 Sleep-Tech와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에 활용 • 산학협력 기반 분석 방법론 : 반도체·디스플레이 기업과 함께 전력 소모, 속도, 집적도 등을 예측하는 분석 툴을 제시하며, 산업 현장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연구로 확장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연구자가 갖춰야 할 태도와 학생들에게 전하는 조언 김대환 교수는 연구 과정에서 “삼위일체 원칙”을 강조합니다. 말로 설명할 수 있고, 수식으로 정량화할 수 있으며, 그림으로 시각화할 수 있어야 비로소 제대로 이해한 것이라는 철학입니다. 또한 연구 동기를 잊지 않고, 문제를 체계적으로 정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중요하게 여기며, 학생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전합니다. • 전자공학은 인류를 이롭게 하는 기술을 고민하는 학문입니다. • 협업과 소통 능력, 그리고 실용적 감각을 갖춘 연구자로 성장해야 합니다. • 무엇보다도 “뜨거운 열정”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의 강점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는 다양한 전공 분야가 공존하는 대규모 학부로, 학생들에게 폭넓은 선택과 학문적 확장의 기회를 제공합니다. • 다양한 연구 분야 : 회로, 반도체, 제어 등 전자공학의 여러 영역을 체계적으로 배울 수 있으며, 학문 간의 연결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 • 실용적 교육 : 이론에만 그치지 않고, 실제 산업과 연결된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 환경이 마련되어 있습니다. • 넓은 진로 기회 : 졸업 후 기업 취업뿐 아니라 창업, 연구소 진출, 대학원 진학 등 다양한 진로로 이어질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.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SiLK 연구실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://silk.kookmin.ac.kr/ 국민대학교 전자공학부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s://ee.kookmin.ac.kr/